티스토리 뷰
목차
“고지서를 못 받아서 몰랐어요.”
이렇게 말해도 가산세는 피할 수 없습니다.
특히 요즘은 종이 고지서 없이 전자고지만 발송되는 경우가 많아, 알림 설정을 해놓지 않으면 기한을 놓치기 정말 쉽습니다.
2025년 8월 주민세 납부는 이미 시작되었고, 납부 마감일은 8월 31일(일)입니다.
이 글을 보는 지금이 바로 체크할 순간입니다.
주민세, 누가 내야 하나요?
주민세는 주소지를 둔 개인 또는 사업자에게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
매년 7월 1일 기준 세대주, 사업장 보유 개인/법인에게 부과되며, 납부는 8월에 진행됩니다.
고지서는 위택스(WETAX) 또는 지로(GIRO) 등을 통해 전자 발송되므로, 알림 설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2025년 주민세 납부 일정 요약
올해도 납부 대상에 따라 일정이 다릅니다. 정확히 확인하세요.
구분 |
납부 기간 |
비고 |
---|---|---|
개인분 | 2025년 8월 16일 ~ 8월 31일 | 세대주 대상 |
사업소분 | 2025년 8월 1일 ~ 8월 31일 | 사업자/법인 대상 |
2025년 8월 31일까지 미납 시 가산세 3% 이상 부과됩니다.
고지서 못 받으면 생기는 불이익
최근 고지서는 대부분 **전자고지 방식**으로 전환되었으며, 종이로 발송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 전자고지 신청 후 알림 미설정 시 놓칠 가능성 ↑
- 기한 초과 시 3% 가산세 → 체납 지속 시 **재산 압류, 번호판 영치** 등 불이익
- 체납 기록은 **신용조회 시 불이익 요소로 반영** 가능성 있음
⇒ 위택스, 지로 앱에서 알림 설정 필수!
고지서 기다릴 필요 없다! 납부 방법 4가지
종이 고지서 없이도 아래와 같이 간편하게 납부할 수 있습니다.
- 1. 위택스 앱 (WETAX) : www.wetax.go.kr
- 2. ARS 납부 : 각 지자체 ARS 번호(예: 1544-XXXX)로 전화 후 카드번호 입력
- 3. 인터넷/모바일 뱅킹 : 은행 앱에서 ‘지방세 납부’ 메뉴 선택
- 4. 지로 앱 : www.giro.or.kr 접속 후 고지서 조회 납부
전자고지 + 자동이체 신청 시 소액 세액 공제 혜택도 가능합니다.
주민세 평균 납부 금액 비교
대상 |
평균 납부 금액 |
---|---|
개인 세대주 | 11,000원 |
개인사업자 | 55,000원 ~ 500,000원 |
법인 | 최대 5,000,000원 |
※ 위 금액은 지자체 및 업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Q&A
Q1. 고지서를 못 받았는데도 납부해야 하나요?
→ 예. 고지서 수령 여부와 관계없이 납부 대상자라면 반드시 납부해야 합니다.
Q2. 알림 설정은 어떻게 하나요?
→ 위택스 앱 또는 지로 앱에서 ‘전자고지 알림 수신’ 설정 가능 (카카오톡, 문자 등)
Q3. 납부 기한을 놓치면 가산세가 얼마인가요?
→ 최소 3%, 최대 10%까지 부과될 수 있습니다.
Q4. 자동이체로도 납부 가능한가요?
→ 예. 위택스 또는 은행을 통해 자동이체 신청 가능합니다.
Q5. 체납하면 어떤 불이익이 있나요?
→ 압류, 번호판 영치, 신용 불이익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 알림 설정이 진짜 생명입니다
이제 주민세는 그냥 ‘한 장짜리 고지서’가 아닙니다.
전자고지, 모바일 납부, 알림 설정까지 챙겨야만 진짜 납부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