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주거비 걱정, 더는 혼자 감당하지 마세요!”
    2025년 현재, 정부의 주거급여 서비스는 임차가구와 자가가구 모두를 위한 주거 안정망으로 작동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 중 ‘서비스 내용’에 대해 상세히 알려드릴게요!

     

     

     

    임차가구 – 임대료 지원 내용

     

    임차가구에는 전월세 비용을 기준으로 계산된 기준임대료 한도 내 실질 임차료+보증금 환산액을 지원합니다.
    지역 및 가구 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기준임대료가 다르게 책정되어 있습니다.

     

    가구 수

    1급지(서울)

    2급지(경기·인천)

    3급지(광역시·세종시·수도권 외 특례시)

    4급지(그 외)

    1인 352,000원 281,000원 228,000원 191,000원
    2인 395,000원 314,000원 254,000원 215,000원
    3인 470,000원 375,000원 302,000원 239,000원
    4인 545,000원 428,000원 351,000원 256,000원
    5인 이상 667,000원 531,000원 428,000원 363,000원

     

    ※ 보증금은 연 4%로 환산하여 합산 계산됩니다.

     

    자가가구 – 주택 수선비 지원 내용

     

    자가가구는 주택의 노후도에 따라 주택 수선을 지원합니다.
    수선비 지원은 ‘경보수-중보수-대보수’ 등으로 구분되며, 범위와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경보수 (도배, 장판 등): 590만 원 (순수주기 3년)
    • 중보수 (수도, 난방 등): 1,095만 원 (순수주기 5년)
    • 대보수 (지붕, 기둥, 벽체 등): 1,661만 원 (순수주기 7년)

    ※ 주거급여 대상자의 소득에 따라 생계급여와 함께 받을 수 있으며, 조건에 따라 100% 또는 90% 지원

     

    청년 분리지급 기준

     

    주거급여 수급가구의 청년이 부모와 따로 살 경우, ‘청년 분리지급’ 제도를 통해 개별적으로 임차료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부모가구 급여액 = 부모가구 임대료 - 자기부담분 × 부모가구원수 비율 × 30%
    • 청년가구 급여액 = 청년가구 임대료 - 자기부담분 × 청년가구원수 비율 × 30%

    마무리 안내

     

    정부는 임차가구에는 월세·보증금 지원을, 자가가구에는 주택 수선을 통해 주거비 부담을 덜고 안정적인 거주를 돕습니다.
    ‘청년 분리지급’ 또한 확대되어 더 많은 청년들이 독립적으로 주거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내 소득과 주거 상태가 해당된다면, 반드시 신청을 고려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