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기초생활수급자 되면 실제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을까?” 단순한 생계비만이 아닙니다. 2025년 기준 기초생활보장 급여는 생계, 주거, 의료, 교육, 해산·장제까지 매우 폭넓게 제공되며 가구 규모와 상황에 따라 세부적으로 차등 지원됩니다.

     

     

     

     

    2025년 기초생활보장 급여 종류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로 선정된 가구는 아래 항목별로 정해진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은 생계급여, 주거급여, 의료급여, 교육급여, 해산급여, 장제급여로 구분됩니다.



    생계급여: 현금지급으로 식비, 연료비 등 생계지원

     

    가구원 수

    생계급여 최대지원액 (중위소득 32%)

    1인 765,444원
    2인 1,258,451원
    3인 1,608,113원
    4인 1,951,287원
    5인 2,274,621원
    6인 2,580,738원
    7인 2,876,297원

     

    ※ 8인 이상은 7인 기준에서 1인 추가 시 약 295,559원씩 가산

     

    주거급여: 임차료 또는 주택개보수 지원

     

    ① 임차가구: 기준임대료 상한선 내에서 실제 월세 지원

    가구원 수

    1급지(서울 기준)

    1인 352,000원
    2인 395,000원
    3인 470,000원
    4인 545,000원
    5인 564,000원
    6인 667,000원

     

    ② 자가가구: 노후도 평가 후 주택 개·보수 지원

    구분

    지원금액

    수선주기

    수선내용

    경보수 590만 원 3년 도배, 장판 등
    중보수 1,095만 원 5년 창호, 단열, 난방공사 등
    대보수 1,601만 원 7년 지붕, 욕실, 주방공사 등

     

    의료급여: 병원비 본인부담금 지원

     

    질병·장애정도에 따라 의료급여 1종 또는 2종으로 구분되며, 본인부담금 차등 적용

    급여종류

    입원

    외래(1차)

    외래(2차)

    외래(3차)

    약국

    1종 없음 1,000원 1,500원 2,000원 500원
    2종 10% 15% 15% 15% 500원

     

    교육급여: 입학금, 교과서, 교육활동비 등 지원

     

    지원항목

    지급 대상

    지급 내용

    입학금 중·고등학교 입학 시 1회 지급
    교과서비 고등학교 교과서 전체 금액
    수업료 고등학교 국·공립 및 일부 사립 지원
    교육활동지원비 초·중·고 전학년 초등학생: 487,000원
    중학생: 679,000원
    고등학생: 768,000원


    해산급여 및 장제급여

     

    • 해산급여: 출산 시 신생아 1인당 700,000원 지급
    • 장제급여: 사망 시 1구당 800,000원 지급

     

    ※ 해산·장제급여는 생계, 의료, 주거 수급자에게 지급

    Q&A



    Q1. 생계급여와 주거급여를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
    A. 네, 수급자로 선정되면 항목별 중복 지원이 가능합니다.

     

    Q2. 의료급여 1종과 2종 차이는 무엇인가요?
    A. 1종은 중증질환자·장애인 등이고, 2종은 일반 저소득 수급자입니다. 본인부담금 비율이 다릅니다.

     

    Q3. 자가주택인데 주거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노후도 평가 후 개·보수 비용을 수선급여 형태로 지원받습니다.

     

    Q4. 자녀가 학교 다니면 교육급여가 무조건 나오나요?
    A. 생계·의료·주거 수급자라면 조건 없이 지급되며, 교육급여 단독 수급도 가능합니다.

     

    Q5. 급여는 언제부터 받게 되나요?
    A. 수급자 선정일 기준, 신청한 달부터 소급 적용되는 경우도 있으며 항목에 따라 다릅니다.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혜택은 생각보다 많습니다

     

    정부 복지제도는 단순한 ‘지원’이 아니라, 삶의 기본을 지켜주는 안전망입니다. 조건이 맞는다면 꼭 신청해보세요. 2025년 현재, 다양한 급여 항목과 수급 조건이 완화되어 더 많은 이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