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청년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만한 고민, 바로 미래 자립과 자산 형성입니다.
하지만 당장 월세, 생활비, 교통비 등 빠듯한 지출 속에서 저축은 늘 먼 이야기였죠.
그런 여러분에게 2년간 240만 원만 저축하면, 경기도가 무려 580만 원을 만들어주는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을 소개합니다!
2025년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 어떤 제도인가요?
이 제도는 경기도 내 청년 노동자가 매월 10만 원을 저축하면,
2년 뒤 최대 58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경기도가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단순한 적금이 아닌 자산 형성과 자립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디딤돌인 셈이죠.
신청 기간 및 방법
- 신청 기간: 2025년 8월 1일(목) 09:00 ~ 8월 18일(월) 18:00
- 신청 방법: 경기도미래세대재단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
- 선정 인원: 총 3,000명
지원 자격 (모두 충족해야 함)
- 공고일 기준 경기도 거주자 (주민등록상 주소)
- 1985.1.1 ~ 2006.12.31 출생자
- 근로 중이며 월 평균 소득 311만 원 이하인 자
- 가구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7월 건강보험료 기준표 참고)
- 3개월 이상 연속 근무자 (근무지의 지역, 업종 무관)
중위소득 120% 기준표 (2025년 7월 기준)
가구원 수 |
소득기준 (120%) |
직장 건강보험료 |
지역 건강보험료 |
혼합 건강보험료 |
---|---|---|---|---|
1인 | 2,871,000원 | 102,613원 | 22,380원 | - |
2인 | 4,720,000원 | 168,410원 | 105,787원 | 170,193원 |
3인 | 6,031,000원 | 215,933원 | 151,264원 | 219,667원 |
4인 | 7,318,000원 | 261,360원 | 208,471원 | 266,351원 |
5인 | 8,530,000원 | 302,462원 | 260,307원 | 311,031원 |
주의! 신청 제외 대상자
다음 항목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 신청할 수 없습니다.
-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희망키움통장 참여자
- 고용노동부 청년내일채움공제 참여자
- 지자체 자산형성지원사업 참여자
- 청년복지포인트 등 중복 지원사업 대상자
- 군 복무 중인 자, 병역의무 미필자
- 기초생활수급자, 무직자, 가구 재산 초과 등
가산점 인정 항목
구분 |
증빙서류 |
가산점 |
---|---|---|
소상공인 | 소상공인확인서 | 3점 |
사업체 경영자 | 사업자 등록증, 폐업사실 확인서 등 | 3점 |
장애인 | 장애인 증명서 | 5점 |
국가유공자 자녀 | 국가유공자 확인서 | 3점 |
Q&A
Q. 직장을 그만두면 어떻게 되나요?
A. 중도 해지 사유가 될 수 있으며, 지원금 일부가 지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Q. 중복 참여자 확인은 어떻게 하나요?
A. 자산형성 사업 신청 시 타 정부사업 참여 여부를 확인하며, 중복일 경우 탈락됩니다.
Q. 대학생도 신청 가능한가요?
A. 가능합니다. 단, 주 3개월 이상 근로 중임을 증빙할 수 있어야 합니다.
결론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은 단순한 저축이 아닌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강력한 발판입니다.
근로 중인 청년이라면 누구든지 도전할 수 있으니, 이번 기회를 절대 놓치지 마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