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근로장려금은 가구 유형과 소득, 재산 기준에 따라 지급액이 달라집니다.
올해는 기준이 완화되어 지원 대상이 크게 늘었으며, 맞벌이 가구 소득 기준이 상향돼 더 많은 가구가 수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가구 유형별 소득 기준, 재산 요건, 최대 지급액을 정리했습니다.
2025 근로장려금 가구 유형별 최대 지급액
- 단독가구: 총소득 2,200만 원 미만 → 최대 165만 원
- 홑벌이가구: 총소득 3,200만 원 미만 → 최대 285만 원
- 맞벌이가구: 총소득 4,400만 원 미만 → 최대 330만 원
※ 단, 가구 전체 재산 합계가 2억4천만 원 미만이어야 하며, 이를 초과하면 지급에서 제외됩니다.
소득·재산 기준 표
지급액 계산 방식
- 소득 구간에 따라 지급액은 달라지며, 상한선에 가까울수록 단계적으로 줄어듭니다.
- 재산이 1억7천만 원을 초과하면 지급액의 50%만 지급됩니다.
- 기한 후 신청(6월 3일 ~ 12월 1일)의 경우 95%만 지급됩니다.
실제 지급 시뮬레이션 (예시)
- 단독가구, 소득 900만 원 → 약 165만 원 지급
- 홑벌이가구, 소득 1,400만 원 → 약 250만 원 지급
- 맞벌이가구, 소득 2,000만 원 → 약 300만 원 지급
※ 정확한 지급액은 국세청 홈택스 ‘장려금 계산기’에서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신청 일정 및 주의사항
- 정기 신청: 2025년 5월 1일 ~ 6월 2일
- 기한 후 신청: 2025년 6월 3일 ~ 12월 1일 (95% 지급)
- 지급 시기: 8월 26일부터 순차 지급, 대부분 9월 초 완료
- 전문직 종사자, 월평균 소득 500만 원 이상 고소득자는 신청 제외
📌 Q&A
Q1. 맞벌이가구 소득 기준이 왜 완화됐나요?
A. 2025년부터 총소득 기준이 3,800만 원 → 4,400만 원으로 상향돼 더 많은 가구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Q2. 재산이 많으면 지급에서 제외되나요?
A. 네, 가구 전체 재산이 2억4천만 원 이상이면 지급되지 않으며, 1억7천만 원 초과 시 지급액의 절반만 지급됩니다.
Q3. 기한 후 신청 시 얼마나 줄어드나요?
A. 원래 지급액의 95%만 받을 수 있습니다.
Q4. 자녀장려금과 동시에 신청할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단, 계산 방식은 각각 따로 적용됩니다.
Q5. 언제부터 지급되나요?
A. 2025년 8월 26일부터 순차 지급되며, 대부분 9월 초까지 완료됩니다.
정리하며…
2025년 근로장려금은 가구 유형·소득·재산 기준에 따라 최대 330만 원까지 지급됩니다.
맞벌이 가구 소득 기준이 완화되면서 더 많은 청년·가정이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기한 내 신청 시 100% 지급, 기한 후 신청 시 95% 지급이므로 반드시 정기 신청 기간을 지켜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