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공영방송 KBS와 MBC의 이사 선임 방식이 드디어 달라집니다.
방송 3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정치의 영향력을 줄이고 시민 중심으로 바뀌는 방송 환경이 예고되고 있죠.
지금부터 KBS·MBC 이사 구성이 어떻게 바뀌는지, 방송 3법 전후를 비교해 알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방송 3법 개정 전후, 이사진 구성 이렇게 바뀝니다
기존에는 정권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해 여당 중심의 인사들이 공영방송 이사로 선임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개정으로 공정성과 투명성이 확보되도록 제도가 바뀌게 됩니다.
표로 보는 KBS·MBC 이사 구성 비교
구분 |
개정 전 |
개정 후 |
---|---|---|
이사 추천 주체 | 여당 추천 다수, 야당 소수 | 독립 추천위원회에서 시민·전문가 중심 추천 |
사장 선출 방식 | 내부 이사 추천 → 대통령 임명 | 공개 모집 + 시민참여 검증 절차 |
이사 구성 기준 | 정치권 중심, 특정 성향 편중 | 시민사회, 학계, 방송 전문가 등 다양한 구성 |
정치적 영향 | 높음 (여당 편중) | 낮음 (정치 독립성 강화) |
투명성 | 비공개 추천, 절차 불분명 | 공개 추천 및 검증 절차로 투명성 확보 |
왜 바뀌어야 했을까?
그간 정치권의 영향으로 공영방송의 공정성이 훼손된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습니다.
이번 방송 3법 개정은 국민이 주인 되는 방송, 진정한 공영방송으로 거듭나기 위한 제도적 시작입니다.
이제부터는 시민이 이사 추천에 참여하고, 사장도 투명하게 선출되며, 정치적 독립성이 강화됩니다.
Q&A
Q. 방송 3법이 적용되면 바로 바뀌나요?
A. 통과 이후 관련 시행령과 위원회 구성 등 추가적인 행정절차가 진행되며, 적용까지 약간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Q. 독립 추천위원회는 누구로 구성되나요?
A. 정치권 외 인사로 구성되며, 시민사회, 방송계, 학계 등의 전문가가 포함될 예정입니다.
Q. 방송 3법은 모든 방송사에 적용되나요?
A. 현재는 KBS, MBC, EBS 등 주요 공영방송에 해당하며, 민영방송은 적용 대상이 아닙니다.
결론 및 마무리
방송 3법의 개정은 단순한 법률 변경이 아닌, 공영방송의 본질을 되찾기 위한 첫걸음입니다.
이제는 정치가 아닌 국민이 주인 되는 방송, 다양성과 공정성이 살아 숨 쉬는 언론환경이 만들어질 수 있기를 기대해봅니다.
공영방송의 미래, 이제는 국민과 함께 만들어갑시다!